검단마전동교정치과, 성인교정은 아이 교정과 200% 다릅니다.
"우리 치과는 조금 이상합니다."
교정은 보통 언제 받을까요?
네, 바로 "나이가 어릴때' 즉, 미성년일 때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실제로 인천 서구 검단 교정치과의 환자 비율을 보면 미성년 환자들의 비율이 압도적이죠.
하지만 저희 치과에서는 성인 환자가 미성년 환자보다 더 많습니다.
성인 55% : 미성년 45%
특히 40대와 50대 환자분들도 적지 않게 찾아오고 계시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수십 년간 불편함을 감내하시다가 이제야 치과를 찾는 그 심정을 잘 이해합니다.
단순히 미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턱관절 문제나 부정교합 등 기능적인 이유로
교정을 고민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성인 교정과 아이 교정이 전혀 다른 치료라는 사실을 잘 모르고 계십니다.
또한 이런 질문도 있을 수 있습니다.
"동네 치과에서 교정을 해도 괜찮을까요?
서울의 큰 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하는 건 아닐까요?"
그래서 오늘은 이런 의구심과 성인 교정에 대한 진실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저는 타협하지 않는 치과의사 노경우입니다.

1. 말할 수 없었던 치과의 진실
여러분께 질문 하나 드리겠습니다.
며칠간 고통받던 충치 때문에 치과에 갔습니다.
원장님이 치아를 살펴보시고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뽑아야겠네요."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이라면, 치아를 뽑으시겠습니까?
아마 아무 의심 없이 뽑고 임플란트를 심으실 것 같습니다.
"의사이니까"
"알아서 잘 해주겠지"
이런 생각이 들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런데 만약 그 치아를 살릴 수 있었다면 어떤 생각이 드실 것 같으신가요?
이처럼 우리는 치과의사 한 사람의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말해, 치과 치료는 전적으로 치과의사의 양심과 철학에 따라 결과가 결정되는 특수한 분야입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내과나 외과와 같은 일반적인 전문 진료과목에는 질병에 대한 정의가 있고,
그에 따라 진단과 처방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치과는 어떨까요?
충치는 단순히 충치일 뿐입니다.
그 정도와 처치 방법을 판단하는 것은 오롯이 치과의사의 몫입니다.
(물론 잇몸이나 턱관절 질환도 있지만, 이 글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즉, 원장이 살려야 한다고 판단하면 살릴 것이고,
뽑아야겠다고 판단하면 뽑아야 하는 것입니다.
누군가는 옳다고 생각하는 판단이,
누군가에게는 최선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항상 환자분들에게 이렇게 말씀드립니다.
"다른 건 몰라도, 치과는 여러 곳 다녀보셔야 해요"라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진실은 지금부터입니다.
2. 치료를 받는 그 의사, 교정 전문의가 맞나요?

치과의사는 모두 같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치과에는 총 11개의 전문 과목이 있으며,
각 과목에 따라 '전문의'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중에는 "교정 전문의"도 포함되어 있죠.
전문의란 무엇인가요?
의학의 특정 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의사로 국가에서 인정받은 사람입니다.

물론 교정 전문의에게 교정을 받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렇지만, 비교할 수 있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중학생 시절 미술 수업을 듣고 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시험이 가까워져 자습 시간을 주셨습니다.
미술 선생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모르는 수학 문제 있으면 나한테 물어봐."
그 말을 듣고 친구들은 의아해하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선생님은 미술 선생님이신데, 어떻게 수학 문제를 푸세요?"
그러자 선생님은 이렇게 답하셨습니다.
"내가 사범대를 졸업했으니, 중학교 수준의 수학은 풀 수 있단다."
그때 저는 느꼈습니다.
"그렇구나, 사범대학을 졸업하셨으니 중학교 수준의 수학은 쉽게 풀 수 있겠구나."
치과 치료도 마찬가지입니다.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여도 모든 진료를 볼 수 있습니다.
마치 미술 선생님이 수학 문제를 풀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처럼요.
그래서 많은 치과에서 교정부터 임플란트까지 모든 진료를 담당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수능 수준의 수학으로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쉽게 풀 수 있을까요?
아마 풀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때는 수학 선생님에게 배워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께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일반 치과의사에게 교정을 받으시겠습니까?
아니면 교정 전문의에게 교정을 받으시겠습니까?
그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3. '성인교정'은 아이 교정과 완전히 다릅니다.
아이 교정은 대체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아이의 성장만을 고려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치료가 간단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전/아래-후)
하지만 성인 교정은 아이 교정과 200% 다릅니다.
성인 교정은 주로 치아 벌어짐, 미백, 턱관절 기능, 주걱턱 교정 등 기능적 이유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보철 치료(래미네이트 등)가 함께 진행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성인 교정에서는 여러 의사의 '협진(협동진료)'이 가장 중요합니다.
말씀드린 대로 치과 치료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이가 뽑히거나 살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 '협진'의 핵심은 이렇습니다.
한 사람의 판단에 의존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교정과 원장님과 협진을 진행합니다.
큰 그림은 교정과 원장님이 그리고, 세부적인 부분은 보철과 전문의인 제가 담당합니다.
협진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에, 교정 전문 진료실을 따로 두기도 했습니다.

4. 의사가 2명이면 가격도 2배인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협진한다고 해서 비용이 더 비싸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두 명의 치과의사가 협진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교정과 원장님이 라미네이트나 충치 치료까지 모두 보시는 경우가 많죠.
오히려 두 명의 의사가 함께 일하는 것은 병원 운영 측면에서 손해일 수도 있습니다.
그 시간에 한 명의 환자를 더 받을 수 있으니까요.
그럼에도 저희는 협진을 선택했습니다.
그것이 환자를 위한 길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타협하지 않는 것.
최선을 다하는 것.
무엇보다
스스로에게 떳떳하기 위해서
그래서 저희는 협진을 진행합니다.
감사합니다. 타협하지 않는 치과의사 노경우였습니다.
